5월 기준 국가 채무가 16조원 증가해 1100조원 수준
* 기획재정부 재정동향 발표 자료(2023년 7월 13일 발표)
중앙정부 채무는 지난해 말(1033조4000억원)과 비교해선 55조3000억원 순증.
- 국고채 잔액은 55조9000원, 외평채 잔액은 5000억원 증가, 주택채 잔액이 8000억원 감소
5월 누계 총수입은 국세·세외수입이 감소하면서 전년동기대비 37조원 적은 256조6000억원
5월 누계 총지출은 코로나19(COVID-19) 사업 축소, 지방교부세·교부금 감소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55조1000억원 감소한 287조4000억원
기재부는 전년동기대비 총지출 감소와 관련해 "지난해 예외적 지출 소요인 1차 추가경정예산 16조9000억원, 2차 추경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23조원, 2021년 세수 급증에 따른 지난해 지방교부세·교부금 정산 11조2000억원이 5월까지 지출된 것 등에 기인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통합재정수지는 5월 말 기준 30조8000원 적자를 기록했다. 사회보장성기금수지 21조7000억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52조5000억원 적자로 전년동기대비 18조8000억원 개선됐다.
5월 까지 정부 총수입 256조6천억원 (전년 대배 37조원 감소)
국세수입이 160조2천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6조4천억원 감소
소득세, 법인세,부가세 등을 중심으로 감소
세수 펑크에 돈 쓰기도 겁나네…5월까지 총지출 전년대비 55조원↓
5월까지 총지출이 지난해보다 55조원 넘게 감소했다. 역대 최악의 ‘세수 펑크’에 정부가 허리띠를 졸라맸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랏빚은 한달 사이에 16조원 더 불어났다. 나라 살림을 보여주는
n.news.naver.com
5월까지 재정수지 -52.5조…적자 폭 다시 확대
기획재정부가 13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7월호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5월까지 총수입은 256조 6천억 원, 총지출은 287조 4천억 원이었다. 총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조 원 줄었다. 국세
n.news.naver.com
5월까지 국가 총수입 37조↓, 재정적자 53조원…국가채무 1089조원 사상 최대
올들어 5월까지 정부 총수입이 지난해에 비해 37조원이 줄어들면서 재정적자 규모가 53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지출은 고정비 성격이 강해 향후 적자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국가채
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