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타링크, 한국 진출에 따른 통신 시장 변화 예측

반응형

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21년 12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 거주자 100명당 100Mbps급 유선 인터넷 가입자 수는 40.4명

38개 회원국 중 1위를 차지



2
구리 케이블보다 인터넷 속도가 빠른 광케이블 회선 비중도 전체의 86.6%로 회원국 중 1위

오늘날 한국이 '인터넷 강국'이라 불리는 건 인프라 덕분



3
사실 한국처럼 구석구석까지 닿는 통신 인프라를 갖추는 건 쉬운 일이 아닙니다.

무엇보다 어마어마한 비용이 필요합니다.

KT가 2015년 당시 국내에 1Gbps 속도의 기가인터넷 인프라를 깔기 위해 한해에만 1조4000억원의 설비투자비(CAPEX)를 집행했던 건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



4
천문학적인 비용이 드는 만큼 개발도상국이 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하는 건 부담

역설적이지만, 미국과 중국은 투자 비용은 넉넉할지 몰라도 땅덩어리가 너무 크다는 게 단점

앞선 OECD의 발표에서
미국이 거주자 100명당 100Mbps 가입자 수가 25.8명, 광케이블 비중이 21.8 %으로 우리나라보다 크게 뒤처진 건 이런 이유



5
스타링크의 한국 시장 진출
2023년 2분기 한국에서 서비스 시작 예정
지금까지 4,217대의 위성 발사 (2023년 3월 29일 기준)
목표 위성 수: 총 42,000개 (2027년까지)



6
스타링크의 인터넷 속도 및 기술

기본 속도: 50Mbps, 최고 속도: 500Mbps

지연 속도(Latency): 20ms 미만 (일반 위성 서비스 대비 월등)



7
6G 상용화와 스타링크의 가능성

6G 이론상 최대 전송속도: 1Tbps (5G 대비 20배 빠름)

6G 주파수 대역: 100GHz 이상 (5G 대비 더 높은 주파수 대역 사용)



8
위성 인터넷, 6G 인프라 구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

전망되는 미래 산업 및 스타링크의 기회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UAM), 3D 홀로그래픽 등

대용량 데이터 무선 전송이 필요한 산업에 긍정적 영향 예상



9

기존 통신 인프라에서 위성통신이 나타난 배경

1)급증하는 데이터 사용량

인터넷 사용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Cisco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에서 2022년까지 글로벌 IP 데이터 사용량은 연평균 26% 성장하여 2022년에는 매월 396 Exabytes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데이터 사용량의 증가는 기존 통신 인프라의 한계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2)기존 통신 인프라의 한계

높은 데이터 속도와 무선 전송을 요구하는 서비스들이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기존의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약 30억 명의 인구가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월드뱅크 자료, 2021년 기준).



3)위성통신의 등장과 성장

위성통신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입니다. 스타링크 같은 위성 인터넷 서비스는 기존 위성 인터넷 기술보다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스타링크의 인터넷 속도는 기본 50Mbps에서 최대 500Mbps까지 가능하며, 지연 속도(Latency)는 20ms 미만으로 일반적인 위성 서비스(600ms)보다 월등히 앞서고 있습니다.



4)한국 시장의 기회와 전망

스타링크가 한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국내 통신 시장에도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특히 6G 시대를 앞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통신 인프라가 필요한 상황에서 스타링크의 위성 인터넷 기술은 큰 기회를 잡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양대 교수 신민수의 분석에 따르면, 6G 인프라로 스타링크의 위성 인터넷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차, 도심 항공 교통(UAM), 3D 홀로그래픽 등 무선으로 빠르게 대용량의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 사업들이 성장궤도에 오를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5)글로벌 위성통신 시장의 성장

스타링크를 포함한 위성통신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성장 추세에 있습니다. 마켓 리서치 에이전시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6년까지 위성통신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CAGR) 9.2%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6년에 1300억 달러의 시장 규모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https://v.daum.net/v/20230425094443768

"비싸고 느린데"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한국서 통할까

#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이르면 2분기에 국내 론칭할 거란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수신기만 있으면 어디서든 인터넷이 가능하다는 강점으로 해외에선 누적 가입자만 100만명에 달하는

v.daum.net




(챗gpt) 번역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in December 2021, the number of wired internet subscribers with 100Mbps or higher in South Korea is 40.4 per 100 residents, ranking first among the 38 member countries.

South Korea is known as an "internet powerhouse" thanks to its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fact that 86.6% of its broadband connections are via fiber-optic cables, which offer faster internet speeds than copper cables.

It is not an easy task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at reaches every corner of a country like Korea, requiring enormous costs. KT, for example, spent 1.4 trillion won ($1.18 billion) in equipment investment in 2015 alone to build a gigabit internet infrastructure with 1Gbps speed in Korea.

Developing internet infrastructure in developing countries is a burden due to the astronomical cost. Ironically, the United States and China lag behind Korea in terms of the number of wired internet subscribers with 100Mbps or higher per 100 residents (25.8 in the US and 40.4 in Korea) and fiber-optic cable usage (21.8% in the US and 86.6% in Korea) due to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o vast land areas.

Starlink's entry into the Korean market is scheduled to begin in the second quarter of 2023. As of March 29, 2023, a total of 4,217 satellites have been launched, with a goal of 42,000 satellites by 2027.

Starlink's internet speed and technology offer a basic speed of 50Mbps and a maximum speed of 500Mbps, with a latency of less than 20ms, far superior to typical satellite services (600ms).

The potential of Starlink's commercialization and 6G technology is enormous. The theoretical maximum transmission speed of 6G is 1Tbps (20 times faster than 5G), and the frequency band is over 100GHz (using higher frequency bands than 5G).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satellite internet and 6G infrastructure for future industries and Starlink's opportunities is highly anticipated. Industries that require wireless transmission of large amounts of data, such as autonomous vehicles, urban air mobility (UAM), and 3D holographic technology, are expected to benefit positively.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and growth of satellite communication in existing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s due to the limitations of existing infrastructure in meeting the demand for high-speed data and wireless transmission services. Satellit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Starlink's satellite internet service offers better performance than traditional satellite internet technology and is gaining popularity worldwide. The entry of Starlink into the Korean market is expected to bring significant changes to the domestic telecommunications market, especially with the advent of 6G technology. The global satellite communication market, including Starlink, is expected to grow at a CAGR of 9.2% from 2021 to 2026, with a market size of $130 billion expected by 2026, according to market research agencie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