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테슬라는 탈중국을 서두르는 글로벌 기업과 다른 길, 메가팩토리 ESS

반응형

<테슬라는 탈중국을 서두르는 글로벌 기업과 다른 길을 걷고 있다.>

미중 갈등으로 기업들이 몸을 사리는 상황에서 되레 노골적인 친중親中 행보에 나선 머스크



'일론 머스크, 방중 기간 아부와 연회로 환대하다(Elon Musk greeted with flat tery and feasts during China trip)'.
- 영국의 통신사 로이터
지난 5월 중국을 찾아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를 향해 날린 일침

탈중국 경향과 테슬라의 예외적 길

다른 기업들이 중국을 피하는 가운데 테슬라는 그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에 친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영국 통신사 로이터는 중국 방문 중인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를 노골적인 중국 환대에 대한 논평으로 비판했다.

머스크의 대중 전략

반대로 일론 머스크는 중국에 대한 적극적인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전기차 산업 이외의 장기적 목표가 중국에 있기 때문이다.


머스크의 '차이나 플랜'의 핵심

머스크의 중국 전략은 테슬라의 미래 사업인 에너지와 위성통신 산업을 포함하며, 이 두 분야는 머스크가 중국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주요 이유다.

테슬라의 중국 전략

대부분의 기업이 중국을 피하는 가운데, 테슬라는 중국 시장에 더 깊게 접근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영국의 로이터는 중국 내에서의 머스크의 친중 행동을 지적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머스크는 중국에서 전기차 산업을 넘어 에너지 및 위성통신 분야로의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머스크의 장기적 투자 의지는 테슬라의 다양한 미래 사업 영역과 연관되어 있다.

상하이 메가팩토리 계획 발표

2024년 4월, 테슬라는 중국 상하이에 메가팩(Mega Pack) 전문 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상하이 메가팩토리는 테슬라의 첫 해외 메가팩토리로, 2024년 완공 후 연간 1만개의 메가팩 생산 예정이다.


테슬라의 ESS 사업 전략

테슬라는 ESS를 미래 재생에너지 시장의 핵심으로 판단하여 2015년부터 ESS 사업을 진행하며, 2019년 메가팩을 출시했다. 현재 메가팩 수요가 급증 중이다.

상하이 메가팩토리의 필요성

미국 캘리포니아의 메가팩토리는 2025년 1분기까지 주문이 밀려 있기 때문에 상하이 공장은 그 수요를 분담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선택의 이유

중국은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선두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ESS 산업 발전에 큰 투자를 하고 있다.
2022년 중국의 ESS 설비 규모는 870만㎾로, 2021년 대비 110% 성장했다.

출처

전기차 찍고 ESS… 일런 머스크 '친중 전략'에 숨은 빅픽처 [視리즈]

# '굿바이 중국'.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신新냉전 체제로 이어지면서 기업들이 하나둘씩 중국 시장을 떠나고 있다.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까지 '차이나 엑소더스'를 행동으

v.daum.net

반응형